식중독 증상 및 예방법 :: 여름철에는 음식 조심



여름철 조심해야하는 것이 바로 식중독입니다.

왜 유독 겨울보다 여름철에 식중독을 조심해야하는 것일까요?

아래에 설명이 나오겠지만, 식중독균과 온도는 아주 밀접하다고 합니다.

식중독이란 식품의 섭취에 관련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미샐물 또는 유독 물질에 의해 발생했거나, 발생한 것으로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말합니다.




그리고 장염은 소장이나 대장에 염증이 생긴 상태로, 대체적으로 음식과 관련이 있으며, 증상이 유사하여 식중독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식중독균의 종류와 오염원


식중독균은 생각보다 다양하며, 식중독을 일으키는 오염원 또한 다양합니다.

손가락을 다친 사람이 만든 음식, 동물의 변 속에 포함된 세균에 의해 오염된 식품, 오염된 어패류를 다듬은 도마를 이용하여 만든 음식 등.

모든 식중독 오염원들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음식을 만드는 사람과 도구의 오염입니다.

따라서, 식중독 예방하려면 음식을 만드는 사람은 손을 깨끗이하고, 도구도 소독된 것으로 사용한다면,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식중독 원인이 되는 세균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은 온도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평균보통 4도~60도의 온도 사이에서 식중독 균이 증식합니다.

따라서, 음식중 뜨거운 것은 60도씨 이상의 온도로, 찬것은 4도씨 이하로 보관하는 것이 식중독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식중독 증상


우리가 입을 통해 섭취한 음식물들은 소화기관 내에서 각 영양소로 잘게 분해됩니다.

그런데, 섭취한 음식물에 독소가 포함된 경우에는 우리 몸에서 그 독소를 빨리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하게되는데요.

독소의 위치가 위장 등 위쪽에 존재한다면 구토로, 아래쪽의 대장에 존재한다면 설사로 제거하려고 합니다.


이런 미생물에 의한 독소는 소화기관에 흡수되지 않고 체외로 제거하게 되는데요. 반면에 세균이 장벽에 붙거나 뚥고 들어가는 경우에는 구토, 설사와 함께 전신에 발열까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더군다나 일부 세균이 만들어내는 독소의 경우에는 신경 마비, 근육 경련, 의식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식중독 응급처치법



식중독 증상 중 그리 심하지 않은 증상이라면 집에서 응급처치만으로도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1. 음식 대신 수분울 충분히 섭취한다.

2. 끓인 물 1리터 + 설탕 4스푼 + 소금 1숟가락을 타서 마신다.

3. 이온 음료도 효과적이다.

4. 지사제나 항구토제를 사용하지 않는다.(위에서 말했듯이 우리몸에 들어온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5. 설사가 줄어들면 미음이나 쌀죽을 섭취한다.

6. 혈변, 심한 탈수, 고열, 심한 설사에는 병원을 방문한다.



식중독 예방법


- 모든 음식물은 익혀서 먹는다.

- 물은 반드시 끓여서 먹는다.

- 조리한 식품을 실온에 두지 않는다.

- 한번 조리된 식품은 철저하게 재가열하여 먹는다.

- 날음식과 조리된 식품을 용기에 넣어 서로 섞이지 않게 한다.

- 손을 반드시 깨끗이 한 후 음식을 조리한다.

- 생선을 손질할 때에는 아가미, 내장 등을 제거한 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끓여 먹는다.

- 생선을 손질할 때 사용한 도마와 칼은 반드시 소독한다.

- 손에 상처난 경우 육류, 어패류를 만지지 않는다.

- 육류와 어패류를 취급한 칼, 도마는 구분하여 사용한다.

- 집단 급식에 나오는 날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