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직장인이라면 누구나가 궁금해하실 월급계산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왔는데요.






월급계산기




직장인이라면, 취업을 했다면 제일 궁금한 게 바로 월급일 것입니다. 고용계약서에 적힌 금액과 실수령액은 차이가 있는데요.





사회생활을 처음 하시는 분이라면 이렇게 다른 월급에 대해서 황당해 하실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저 또한 사회초년생때 그랬거든요. 가뜩이나 월급도 적은 것 같은데 뭔 세금을 그리 떼는지 말이죠.






일단 우리의 월급은 근로소득이라는 것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근로소득간이세액표에 따라 각 월급마다 내야하는 세금이 정해져있지요.





이번 2017년 새해가 되면서 다시 개정된 근로소득간이세액표가 공개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모든 월급계산기는 월급을 계산하게 되어지죠.







위 그림은 사람이 사이트에서 연봉계산기로 검색을 해서 찾은 월급계산기 정보입니다. 포스팅을 끝내는 시점에 해당 사이트 링크 걸어드리겠습니다.





연봉계산기는 월급계산기와 같습니다. 연봉으로 계산할지 월급으로 계산할지 정하고, 금액을 넣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월급 200만원을 넣고, 부양가족수는 본인포함하여 1명으로 넣고 계산하기를 해보았습니다. 국민연금은 85,500원, 건강보험은 58,140원이 납부되구요. 기타 세금을 내고나니 실수령액은 대략 180만원정도가 됩니다.





이렇게 계산해보시면 본인이 실제 수령해야하는 월급 수령액이 나오게 됩니다. 이상으로 월급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사람인 월급계산기 바로가기


설정

트랙백

댓글